모유 수유 중 약물 복용과 수유 중단 기준
신생아를 둔 많은 부모들이 모유 수유 중에도 몸이 아플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약물을 복용해야 할 상황이 생긴다. 감기약, 항생제, 통증 조절제부터 만성 질환 치료제까지 다양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이 약을 먹고도 수유를 해도 괜찮을까?”라는 걱정은 매우 흔하다. 모유를 통해 약물이 아기에게 전달되는 경로와 양, 그리고 약물의 특성에 따라 수유를 계속해도 되는지 혹은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하는지가 결정되며, 이는 단순한 상식이나 인터넷 정보로 판단하기에는 너무 복잡한 문제다.모유를 통한 약물 전달은 약물의 분자량, 지용성, 단백결합율, 반감기, 생체이용률, 투약 경로 등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의 약물은 일정량이 모유로 분비되지만, 이는 대체로 모유 1mL당 수십 나노그램에서 수 마이크로그램 수준으로..
영유아 피부 질환 총정리 (한포진, 두드러기, 농가진 등)
영유아기는 피부가 연약하고 면역 체계가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에 다양한 피부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땀샘, 피지샘, 각질층 등 피부 보호 장벽의 기능이 미성숙할 뿐 아니라 외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작은 자극이나 감염에도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생후 1년 이내에는 감각신경 발달도 미완성되어 있어 피부 가려움이나 통증에 대한 표현이 제한되며, 조기 진단이 더욱 중요해진다. 본 글에서는 영유아에게 흔히 발생하는 주요 피부 질환인 한포진, 두드러기, 농가진, 기저귀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그리고 혈관종 및 기타 특이 피부병변까지, 여러 질환을 통합적으로 정리해본다.먼저 **한포진(dyshidrotic eczema)**은 주로 손가락 옆면이나 발가락 주변에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