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유아질병

갈락토스혈증, 모유 수유도 금지? 진단과 치료 전략

🧬 선천대사이상, 갈락토스혈증은 단순한 유당불내증이 아니다

신생아가 모유나 분유 섭취 후 구토, 황달,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단순한 소화 문제로 넘기기 어렵습니다. 특히 출생 직후부터 이러한 증상이 빠르게 진행된다면, 선천적인 대사 질환인 **갈락토스혈증(Galactosemia)**을 의심해야 합니다.

갈락토스혈증은 **갈락토스(Galactose)**라는 당 성분을 적절히 대사하지 못하는 희귀 유전 질환으로, 중증의 간 기능 이상, 패혈증, 정신지체, 백내장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갈락토스는 주로 유당(lactose)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데, 이에 따라 갈락토스혈증 환아는 모유는 물론 일반 분유도 섭취할 수 없습니다.

본 글에서는 갈락토스혈증의 원인과 유전적 기전, 임상 증상, 진단 방법, 그리고 식이요법 중심의 치료 전략까지, 국내외 소아대사질환 진료지침과 최신 의학 연구를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합니다.

 

갈락토스혈증, 모유 수유도 금지? 진단과 치료 전략

 

갈락토스혈증의 원인과 유전적 기전 – GALT 효소 결핍이 핵심

갈락토스혈증은 갈락토스 대사 경로의 효소 결핍에 의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유당은 소장에서 갈락토스와 포도당으로 분해된 후 대사 과정을 통해 에너지로 전환되지만, 이 질환에서는 해당 경로에 문제가 생깁니다.
주요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전적 갈락토스혈증(Classic Galactosemia)
    • 원인: GALT (Galactose-1-phosphate uridylyltransferase) 효소 결핍
    • 가장 흔하며 가장 심각한 형태
  • Duarte 변이형
    • GALT 효소 활성은 일부 남아 있으며 비교적 증상이 경미함
  • GALK1 결핍
    • 갈락토키나아제(Galactokinase) 결핍. 백내장이 주요 증상
  • GALE 결핍
    • Epimerase 결핍으로 드문 형태. 전신 또는 국소형 존재

고전적 갈락토스혈증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으로, 부모 모두가 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을 경우 25% 확률로 자녀에게 발병합니다. 유전자 변이는 GALT 유전자(9p13)에 위치하며, 대표적인 병적 변이에는 Q188R, K285N 등이 포함됩니다.

대사되지 못한 **갈락토스-1-인산(Galactose-1-phosphate)**과 **갈락티톨(Galactitol)**이 체내에 축적되어 간, 신경, 신장, 수정체 등 다양한 장기에 독성 작용을 유발합니다.

 

주요 임상 증상 – 간, 신경계, 눈까지 영향을 미치는 전신 질환

고전적 갈락토스혈증은 생후 수일 이내에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초기에는 패혈증이나 패혈성 쇼크와 유사한 증상으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화기 증상: 수유 후 구토, 설사, 탈수, 체중 감소
  • 간 기능 이상: 황달, 간비대, 고빌리루빈혈증, 간효소 상승, 응고 장애
  • 패혈증: 특히 E. coli에 의한 신생아 패혈증 발생률이 높음
  • 백내장: 갈락티톨 축적으로 인한 수정체 혼탁, 생후 수주 내 발생
  • 신경학적 이상: 저긴장증, 발달 지연, 경련
  • 난소기능부전: 성장 후 여성 환자의 경우 80% 이상에서 조기 폐경

이외에도 저혈당, 대사성 산증, 신장 기능 이상, 지능저하 등 다양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진단과 치료가 지연될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진단 과정 – 신생아 선별검사로 조기 발견이 관건

갈락토스혈증은 선천성 대사질환 중 하나로, **신생아 선별검사(NBS: Newborn Screening)**를 통해 조기에 진단될 수 있습니다. 선별검사는 보통 생후 2~3일 내에 시행되며, GALT 효소 활성이나 갈락토스-1-인산 수치 이상이 발견될 경우 추가적인 확진 검사가 필요합니다.

확진을 위한 주요 검사

  • GALT 효소 활성 측정: 적혈구 내 GALT 활성도 측정
  • Galactose-1-phosphate 수치: 혈중 농도 증가 확인
  • 전혈 아실카르니틴 분석: 관련 대사 이상 확인
  • 유전자 분석: GALT, GALK1, GALE 유전자 변이 확인
  • 소변 유기산 분석: 갈락티톨 등 대사산물 확인
  • 안과 검진: 백내장 여부 확인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별검사만으로는 확진할 수 없으며, 임상 증상과 함께 정밀검사를 시행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➍ 치료 및 관리 전략 – 엄격한 식이조절이 생명선

갈락토스혈증 치료의 핵심은 갈락토스 섭취를 철저히 제한하는 식이 요법입니다. 치료는 생후 가능한 한 빠르게 시작되어야 하며, 주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모유 및 일반 분유 완전 금지

  • 모유, 일반 우유, 유청 분유는 모두 유당을 함유하고 있어 금기입니다.
  • 갈락토스 무함유 대체분유 사용:
    • Soy-based formula (두유 기반)
    • Elemental formula (아미노산 기반 완전 조제식)

2. 식이지침과 모니터링

  • 식이요법은 평생 유지되어야 하며, 환아의 성장 단계에 맞춰 갈락토스가 숨어 있는 식품(예: 유제품, 일부 채소 및 가공식품)도 제한 필요
  • 정기적인 영양 상담 및 식품성분표 확인
  • 혈중 갈락토스-1-인산 수치, 성장 지표, 간 기능 등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3. 장기 추적관리

  • 언어 발달 검사, 인지 기능 평가, 청력검사 등 정기적 평가 필요
  • 여아의 경우 사춘기 전후 난소 기능 검사 및 내분비 진료
  • 심리사회적 지원: 학습지원, 가족상담 등 포함

현재까지 갈락토스혈증에 대한 유전자 치료나 효소 대체 치료는 상용화되지 않았으며, 오직 식이 조절이 유일한 관리 방법입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chaperone therapy나 mRNA 기반 치료 전략이 개발 중이나 임상 적용은 미비한 상태입니다.

 

결론 요약 – 조기 진단과 식이 조절이 생명을 좌우합니다

갈락토스혈증은 진단과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중증 희귀 유전 대사질환입니다. 하지만 신생아 선별검사로 조기 발견하고 갈락토스 제한 식이를 철저히 지킨다면, 대부분의 환아는 정상에 가까운 발달을 보일 수 있습니다.

모유나 일반 분유조차도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이 질환은, 의료진의 경각심뿐 아니라 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국내 신생아 선별검사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는 만큼, 생후 초기에 수유 후 이상 증상이 보일 경우 바로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확진 시에는 전문 영양사 및 유전상담과 연계한 다학제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향후 유전자 치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 질환의 치료 지평이 넓어지기를 기대하며, 현재로서는 엄격한 식이요법이 최선의 생명선임을 명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