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유수유

(2)
모유수유 중단 후 잦은 질병 – 면역 변화와 관계는? 모유수유는 단순히 아기의 영양을 공급하는 수단을 넘어, 면역력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리적 현상이다. 아기가 출생한 직후부터 시작되는 모유수유는 신생아의 미성숙한 면역계를 보호하고,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방어하는 주요 수단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모유수유를 중단한 후 일부 아기에서 감기, 중이염, 장염 등 감염 질환이 잦아지거나 이전보다 면역력이 떨어진 듯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런 변화는 단순히 우연한 시기적 일치일 수도 있지만, 과학적으로도 모유가 아기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뚜렷하게 보고되어 있다.모유에는 면역글로불린 A(IgA)를 비롯한 항체, 락토페린, 리소자임, 올리고당, 성장인자, 다양한 면역세포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초유에는 고농도의 IgA가 함유되어 있어, 장 점막을 코팅해..
모유 수유 중 약물 복용과 수유 중단 기준 신생아를 둔 많은 부모들이 모유 수유 중에도 몸이 아플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약물을 복용해야 할 상황이 생긴다. 감기약, 항생제, 통증 조절제부터 만성 질환 치료제까지 다양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이 약을 먹고도 수유를 해도 괜찮을까?”라는 걱정은 매우 흔하다. 모유를 통해 약물이 아기에게 전달되는 경로와 양, 그리고 약물의 특성에 따라 수유를 계속해도 되는지 혹은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하는지가 결정되며, 이는 단순한 상식이나 인터넷 정보로 판단하기에는 너무 복잡한 문제다.모유를 통한 약물 전달은 약물의 분자량, 지용성, 단백결합율, 반감기, 생체이용률, 투약 경로 등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의 약물은 일정량이 모유로 분비되지만, 이는 대체로 모유 1mL당 수십 나노그램에서 수 마이크로그램 수준으로..